기록/네트워크 18

wireshark로 배우는 컴퓨터 네트워크 - 4장 연습문제

1. IPv4 주소의 길이는 _비트이다. a. 16 b. 128 c. 32 d. 64 2. IPv4 주소는 일반적으로 _진 표기법 또는 점 10진 표기법으로 표기된다. a. 16 b. 265 c. 10 d. 64 3. 클래스기반 주소지정에서 IPv4 주소는 _개의 클래스로 나누어진다. a. 3 b. 4 c. 5 d. 6 4. 클래스 A에서 netid는 _이다. a. 0에서 127 b. 128에서 191 c. 192에서 223 d. 224에서 255 5. 클래스 B에서 netid는 _이다. a. 0에서 127 b. 128에서 191 c. 192에서 223 d. 224에서 255 6. 클래스 C에서 netid는 _이다. a. 0에서 127 b. 128에서 191 c. 192에서 223 d. 224에서 255..

기록/네트워크 2023.05.03

네트워크(5) -IP 주소

IP 주소 네트워크층에서는 모든 장치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된 장치를 유일하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인터넷에 연결된 각 장치를 구별하기 위해 IP계층에서 사용하는 식별자를 인터넷 주소 또는 IP주소라고 한다. 한 장치가 두 개의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두 개의 IP주소를 가질 수 있지만 똑같은 IP주소를 두 장치가 가질 수는 없다. 허나 여기서 알아둬야 할 것은 IP주소는 유일하긴 하지만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IPv4 주소는 32비트 길이의 주소이며, IPv4 같은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주소의 총 개수를 주소공간이라 한다.IPv4 주소의 주소공간은 2^32개, 40억 개 이상이다. IP주소를 나타내는 데에 3가지 표기법이 있는데, 각각 이진 표기법, 16진 표기법, 점 10진 표기 법..

기록/네트워크 2023.04.23

네트워크(4) - 네트워크층

교환 switching 메시지를 발신지에서 목적지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많은 결정이 이뤄진다. 메시지가 연결장치에 도착할 때 패킷을 송신할 출력포트를 결정하는 것도 그렇다. 패킷이 라우터(교환기)의 한 포트에 도착하면 이 패킷은 다른 포트를 통해 다음 교환기로 전달된다. 이 과정을 교환(switching)이라고 하며 이 과정은 연결장치(라우터)에서 수행된다. 교환의 종류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다. 회선 교환 패킷 교환 회선 교환 circuit switching 대부분 네트워크층에서 구현되지 않고 물리층에서 구현된다. 메시지를 전달하기 전에 발신지와 목적지 사이에 물리회선(링크)를 생성한 후 메시지를 전달한다. 발신지는 메시지를 전달하면 네트워크에 통보하고 네트워크는 다른 연결을 위해 연결을 해제한다. 여기..

기록/네트워크 2023.04.22

네트워크(3) - 데이터 링크 제어 DLC (데이터링크층)

DLC 데이터 링크 제어 서비스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프레임짜기 비트들을 프레임으로 만들어서 각 프레임을 다른 프레임과 구분 짓게 한다. 프레임은 고정 길이와 가변 길이로 구분되는데 고정 길이는 ATM광역네트워크의 셀과 같다. 가변 길이는 주로 LAN에서 사용하는데 프레임이 끝나는 곳과 다음 프레임이 시작하는 곳을 지정한다. 가변 길이 프레임은 또 문자 중심과 비트 중심으로 나뉜다. - 문자 중심 프레임 짜기 : ASCII와 같은 부호화 시스템의 8비트 문자를 사용한다. 시작과 마지막에 8비트 플래그를 추가시켜 길이를 정한다. - 바이트 채우기와 빼기 : 정보 내 플래그로 사용되는 패턴이 있을 경우 이를 플래그로 오인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플래그나 ESC문자가 있을 때 1바이트를 추가함으로써 구분..

기록/네트워크 2023.04.20

네트워크(2) - TCP/IP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5개의 계층(물리, 데이터링크, 네트워크, 전송, 응용)으로 구성돼 있다.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각 모듈이 대화식으로 되어 있는 계층 구조다. 1,2 계층은 특정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으며 기존의 모든 표준과 기술적인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tcp/ip에서는 3가지의 주소를 사용한다. 물리 주소, 논리 주소, 포트 주소가 그것이다. 이들 주소의 계층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물리 주소 : WAN이나 LAN에서 정의된 노드의 주소이며 12개의 16진수, 6바이트로 이뤄졌다. 논리 주소 : 호스트를 식별할 수 있는 32비트의 주소 체계다. 흔히 알려진 IPv4주소가 논리 주소다. 이는 이후 IPv6주소로 ..

기록/네트워크 2023.04.11

네트워크(1) - OSI

OSI 개방 시스템 상호연결 Open System Interconnection의 약자다. 기본적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변경없이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개방통신을 위한 것이다. 또한, 안전하게 상호 연동이 가능한 네트워크 구조를 이해하고 설계하기 위한 모델이기도 하다. OSI가 없다면 하나의 문제가 발생했을 때 모든 부분을 뜯어고쳐야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OSI 7계층 한 가지 기술적 변경이 있을 때 관련 계층만 손보면 되는 구조다. 1,2,3 계층은 네트워크 지원 계층이다. 한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전송되는 데이터와 물리적인 면을 처리한다. 5,6,7 계층은 사용자 지원 계층인데, 관련 없는 소프트웨어 시스템 간의 상호 운용성을 제공한다. 4계층은 두 계층을 서로 연결한다. 네..

기록/네트워크 2023.04.10

데이터통신(2) - 데이터통신 기본개념 간단요약

회선구성 둘 이상의 통신장치가 하나의 링크에 연결되는 방식이다. 링크는 하나의 장치로부터 다른 장치로 데이터를 보내는 물리적 통신로다. 종류는 3가지로 나뉘는데 다음과 같다. 점대점 point-to-point : 두 장치만 사용하는 단일 전용 링크를 제공한다. 다중점 multipoint : 두 개 이상의 장치가 단일링크로 공유하는 방식이다. 교환방식 switching : 교환기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통하여 여러 기기들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이다. 접속형태 물리 또는 논리적인 네트워크 구성 방법인데, 네트워크 링크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링크의 배열이다. 접속형태를 선택할 때 고려사항이 있다. 대등 대 대등 peer-to-peer : 장치들이 동등하게 링크를 공유하는 방식이다. (링형과 그물형이 있다..

기록/네트워크 2023.04.09

데이터 통신(1) 간략하게-

데이터 통신 개요(Data Communication) 데이터 Data는 '주어진 어떤 것'이란 의미의 라틴어 datum의 복수형이다. 사용자에 의해 합의된 형식으로 사실, 개념, 명령 등을 표현한 것이다. 통신 Communication은 정보 공유를 의미하는 라틴어 communicare에서 유래되었다. 따라서 통신은 정보의 공유를 의미한다. 데이터 통신은 우리가 학교에서 배웠던 '광케이블' 같이 특정 전송매체를 통해 두 장치 간에 이뤄지는 데이터 교환을 의미한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3가지 기본 특성을 지닌다. 전달성 Delivery : 목적지에 정확히 데이터가 전달되어야 한다. 정확성 Accuracy : 전송 도중, 신호가 감쇄하거나 비트가 상실하기에 데이터 그대로 정확히 전달해야 한다...

기록/네트워크 2023.03.0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