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60

kubernetes (1)

쿠버네티스 기본 용어 및 개념 종합 정리쿠버네티스(Kubernetes)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확장, 관리를 자동화하고 조율하기 위한 오픈소스 플랫폼이다. 구글이 개발한 이 시스템은 일주일에 수십억 개의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관리하던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현재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컴퓨팅 재단(CNCF)에서 관리하고 있다. 흔히 'K8s'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K'와 's' 사이에 8개의 문자가 있다는 의미에서 비롯되었다.쿠버네티스 아키텍처 구성요소클러스터(Cluster)클러스터는 쿠버네티스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로, 노드라고 불리는 머신들의 집합이다. 이 클러스터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컴퓨팅 리소스를 공유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배포와 관리를 담당한다.마스터 노드(Mast..

기록/Kubenetes 13:29:30

Django, 그리고 웹 서비스 구조

DjangoDjango는 Python 기반의 고급 웹 프레임워크로, 빠르고 안정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한다. "Batteries included" 철학을 따르며, 인증, ORM, 보안 등 다양한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Django는 대규모 데이터 기반 웹사이트부터 소셜 네트워크, 뉴스 사이트까지 다양한 유형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적합하다. 이 프레임워크는 MVT(Model-View-Template)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Django의 장단점장점빠른 개발: Django는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초기 아이디어부터 배포까지 효율적이다.기능 완비: 인증, 사이트 맵, 콘텐츠 관리 등 다양한 추가 기능을 기본적..

기록/백엔드 2025.03.20

리눅스

리눅스 : 파일 시스템, 권한 및 구조리눅스는 다중 사용자를 지원하는 운영체제로, 안정성과 보안성이 뛰어나다. 파일 시스템, 권한 관리, 사용자 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서버 환경에서 널리 사용된다. 이 글에서는 리눅스에 대해 전혀 모르는 사람을 위해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 권한, 내부 구조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파일 시스템의 이해파일 시스템 개념파일 시스템은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와 논리적인 단위인 파일을 연결하는 체계이다. 운영체제가 데이터를 찾아 읽고 쓰기 위해 구성하는 구조이다. 파일 시스템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파일 관리(생성, 삭제, 수정 등)파일 접근 방법과 제어 방법 제공백업이나 복구 기능 제공파일 안전을 위한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파일 접근 인터페이스 및 명령어 제공리눅스의..

기록/운영체제 2025.03.17

운영체제란? 커널, 프로세스, 교착 상태까지

운영체제운영체제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자원을 관리하고,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소프트웨어다. 사용자와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효율적인 자원 관리를 통해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한다.일반적으로 SSD 또는 HDD에 설치되며, 컴퓨터 부팅과 동시에 메모리에 로드되어 실행된다.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인스턴스로, 작업을 수행하는 기본 단위다. 운영체제는 프로세스를 관리하며, 프로세스는 실행 중 여러 상태를 거친다.New (생성) 프로세스가 생성된 상태로, 아직 실행 준비가 완료되지 않았다. Ready (준비) 실행 준비를 마치고 CPU 할당을 기다리는 상태다. Running (실행 중) CPU를 할당받아 명령어를 실행하는 상태다. Wait..

기록/운영체제 2025.03.14

M4 Pro With 24GB RAM으로 LLM 실행하기

M4 ProModel Name: MacBook ProChip: Apple M4 ProMemory: 24 GB12코어 CPU(성능 코어 8개 및 효율 코어 4개)16코어 GPU하드웨어 가속형 레이 트레이싱16코어 Neural Engine273GB/s 메모리 대역폭 요즘 LLM에 관심이 많아서 여러 모로 찾아보며 공부하고 있다. 나는 2070 super를 탑재한 데스크탑을 직접 조립해서 사용하고 있지만 이 사양으로는 LLM을 돌리기엔 택도 없다...그래서 위와 같은 사양의 맥북 프로를 앞으로 학습과 여러 테스트에 이용할 생각이다! 가장 처음엔 로컬 환경에서 LLM을 실행시켜보도록 하겠다. 시스템 요구사항대규모 언어 모델을 로컬에서 실행시키려면 그만한 시스템 사양을 갖춰야 한다. 원래 일반 PC에서는 4090..

네트워크 - 소켓, 리눅스 네트워크 관리

소켓(Socket) 통신 개요소켓은 네트워크 상에서 두 프로그램 간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엔드포인트를 의미한다. 이는 포트 번호에 바인딩되어 TCP 레이어에서 데이터가 전달되어야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엔드포인트란 IP 주소와 포트 번호의 조합을 의미한다.소켓의 기본 요소프로토콜 체계소켓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주요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PF_INET: IPv4 기반 인터넷 프로토콜PF_INET6: IPv6 기반 인터넷 프로토콜PF_LOCAL: UNIX 시스템 내 로컬 통신 프로토콜PF_PACKET: 저수준 패킷 기반 소켓PF_IPX: 노벨 네트워크 프로토콜소켓의 유형TCP 소켓(스트림 소켓): 연결 지향적이며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

기록/네트워크 2025.03.13

네트워크 - 교환 방식부터 TCP/IP 모델까지

개요요즘 네트워크에 대해 다시 공부하고 있다. 깊이 파고 들면 정말 방대한 내용이지만 일단 다룬 부분만 정리해서 올리기로 했다. 내용에서 부족하거나 더 궁금한 부분은 웹 에이전트를 사용해 보충했고, 읽기 쉽게 정리하였다!네트워크 교환 방식과 연결 방식네트워크 통신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과 네트워크 장비들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은 네트워크 설계와 운영에 필수적이다. 이 글에서는 네트워크의 교환 방식, 연결 방식, 티어 구조 및 주요 네트워크 장비들에 대해 상세히 알아본다.네트워크 교환 방식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은 크게 회선 교환 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으로 나뉜다.회선 교환 방식(Circuit Switching)회선 교환 방식은 통신하기 전에 먼저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전용 통신 경로(회선)..

기록/네트워크 2025.03.12

네트워크

네트워크네트워크는 분산돼 있는 컴퓨터들이 자원이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통신망으로 연결한 시스템이다. 이는 현대 정보 기술의 근간이 되는 핵심 인프라로, 인터넷의 기본 구조를 형성하는 요소이다.네트워크의 주요 특징컴퓨터 네트워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지리적 장소의 제약 없이 모든 종류의 물리적·논리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여러 컴퓨터가 동시에 작업을 수행하는 병렬 처리가 가능하여 컴퓨팅 성능을 대폭 향상시킨다.데이터와 정보의 실시간 교환이 가능하여 협업과 통신 효율성을 극대화한다.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개방성으로 인해 중요한 보안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네트워크 확장성이 용이하여 새로운 장치를 쉽게 추가하고 연결할 수 있다.네트워크 주소네트워크 주소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기록/네트워크 2025.03.11

클라우드 컴퓨팅 아키텍처

작업 부하 분산 아키텍처워크로드 분배 아키텍처라고도 한다. IT 자원의 과잉활용과 활용 부족 문제를 해소한다. 클라이언트에게 비롯되는 트래픽을 로드밸런서를 통해 가용할 수 있는 서버에 분산 및 전송하여 처리한다.자원 풀링 아키텍처하나 이상의 자원 풀을 활용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IT 자원들이 자동으로 동기화되도록 보장하는 시스템에 의해 그룹화 및 유지 관리된다.→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자원을 할당받고 사용 후 반환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동적 확장 아키텍처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서버의 수용도를 넘어간다면 자동 확장 리스너가 이를 감지해 자동으로 자원을 조정한다. 물리적 자원을 수정하거나 인스턴스(SW) 갯수를 조정하는 방식이다.예시로 쿠버네티스가 있다.동적 수평 확장 : 워크로드를 처리하기 위해 IT 자원..

기록/Cloud 2025.03.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