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알고리즘 32

자료구조(2)

데이터 구조화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데이터를 나열하는 것이다. 이에 '리스트'는 죽 나열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선형리스트(Linear list 혹은 순서 리스트 Order list) 나열한 자료들 간에 앞뒤 관계가 1대1인 리스트를 의미한다. 리스트는 앞서 표현하며, 원소를 나열한 순서는 원소들 자체의 순서가 된다. 덧붙여서, 공백 리스트, 즉 원소가 하나도 없는 리스트도 엄연히 리스트이다. 더보기 리스트 연산 더보기 리스트를 관라하기 위해서는 연산이 필요하다. 다음은 연산 작업의 예이고, 이러한 연산 목록은 필요에 따라 더하거나 뺄 수 있다. 리스트의 두 가지 구현 방식 순차(sequential) 자료구조 방식과 연결(linked) 자료구조 방식이 있다. 장단점이 분명하기에 상황에 맡게 쓴다. 연결 ..

기록/알고리즘 2022.09.17

자료구조(1)

고정소수점(fixed point): 왼쪽밖에 소수점이 고정된 것으로 표현. -다만 이는 표현할 수 있는 자리수가 적음. 0.0000000101에서 맨 뒤 101과 소수점 앞은 빠지게 됨 부동(floating point): 소수점의 위치가 변함. 부호, 지수부, 가수부로 나뉨. -0.001234=-0.1234*10(지수-2) 1(부호,음수이기에 1) -2((지수부, 소수점 오른쪽으로 2칸) 1234(가수부) -10진수는 2진수표현으로 정확히 나타내지 못함. 이때문에 java에서는 bigdecimal class를 이용해 10진수 소수 계산을 할 수 있음. 10진수 실수(존과 팩 형식) 10진수의 2진수 실수표현은 근복적으로 부정확한 표현법. 이를 위해 10진수 실수법으로 표현. 존 형식(zoned decim..

기록/알고리즘 2022.09.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