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어졌으면 일어서서 다시 걷자 🐈My GitHub🐈

전체 글 146

운영체제(9) - 입출력 시스템과 디스크 관리

입출력 모듈 입출력 모듈은 프로세스, 레지스터 등의 내부 저장장치와 물리적 입출력 장치 사이에서 이진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입출력 모듈이 프로세서를 대신해서 입출력 업무를 수행하면 입출력 채널 또는 입출력 프로세서가 된다. 단순히 입출력 방법만 담당하면 입출력 제어기 또는 장치 제어기가 된다. 기능 입출력 장치 제어 프로세서와의 통신 : 명령해독, 데이터 교환, 상태 보고, 주소 인식 등을 수행. 데이터 버퍼링 : 버퍼링을 통해 속도 조절. 오류검출 입출력 방법 프로세서의 역할에 따라서 입출력 방법이 달라진다. 프로세서 제어 입출력 (프로세스가 전부 관여) DMA 입출력 입출력 채널 프로그램 제어 입출력 프로세서의 내부에 각종 레지스터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프로세스 내부의 입출력 주소 ..

기록/운영체제 2022.12.07

검색 알고리즘

검색 search이란 컴퓨터에 저장한 자료 중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는 작업이다. 다르게 말하자면, 원하는 검색키를 지닌 항목을 찾는 것이며, 원하는 항목이 있을 경우엔 '검색 성공', 없을 경우엔 '검색 실패'가 된다. 원소의 삽입 삭제를 위해서도 검색 연산을 수행하기도 한다. 검색 알고리즘을 고를 땐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다. 수행 시간 복잡도, 자료구조, 정렬 여부, 자료의 위치 등이 있다. 검색 수행 위치에 따라, 메모리에서 수행하면 내부 검색, 보조기억장치에서 수행하면 외부 검색으로 나뉜다. 검색 방식에도 분류가 있다. 검색 대상의 키를 저장된 자료의 키와 비교하여 검색하는 '비교 검색'과 계수적인 성질 값을 이용한 계산으로 검색하는 '계산 검색'이 있다. 순차 검색 Sequential searc..

기록/알고리즘 2022.12.06

경제학개론(23) - 국민소득의 측정

미시경제학microeconomics은 개인과 기업이 어떻게 의사결정 하고, 이들이 시장에서 어떻게 상호하는지를 다루는 학문이다.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은 경제 전반에 관한 현상을 연구하는 분야다. 이번 장에서 경제학자들이 거시경제를 파악하는 데에 사용하는 데이터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가장 중요하고 빈번하게 다뤄지는 것은 국내총생산, GDP다. 한 나라의 총소득을 나타내며 경제적 후생 수준까지 반영되어 있다. 국내총생산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알아둬야 할 것이 있다. 왜 소득만을 계산하는가? 지출도 있지 않은가? 라는 물음이 생길 수 있다. GDP는 소득과 지출이라는 측면을 함께 나타낸다. 이는 경제전체적으로 볼 때 소득과 지출이 같기 때문이다. 사는 사람이 있으면 파는 사람이 있다. 생각해보..

기록/경제학 2022.12.06

경제학개론(22) - 미시경제학의 새로운 영역

경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장이다. 비대칭 정보 asymmetric information, 정치경제학 political economy, 행동경제학 behavioral economy 이 세 가지를 간략하게 소개한다. 다만 정치경제학은 조금 더 짧게 주요개념만 짚겠다. 비대칭 정보 Asymmetric information 정보의 비대칭성 Information asymmetry : 상호작용에 필요한 정보에 대한 접근성의 차이. 보통 한 사람이 다른 사람보다 많이 안다. 도덕적 해이 Moral hazard : 불완전하게 감시를 받는 사람이 부정직한 행위를 하는 경향을 일컫는다. 대리인 agent : 사용자를 위해 어떤 행위를 하는 사람. 사용자 principal : 어떤 행위를 하도록 대리..

기록/경제학 2022.12.05

경제학개론 (21) - 소비자 선택 이론

예산제약 : 소비자 선택의 한계 예산제약선 Budget constraint : 소비자의 예산과 재화 가격에서 구매할 수 있는 묶음을 보여주는 선. 상대가격 Relative price : 다른 재화 가격과 비교된 한 재화의 가격. 한 사람의 소득은 소비할 수 있는 재화의 양에 제약을 두게 된다. 이 제약 안에서 구매할 수 있는 재화의 묶음을 예산제약선이라고 한다. 예산제약선의 기울기는 한 재화를 다른 재화로 대체할 수 있는 비율이다. 또한 기울기는 곧 두 재화의 상대가격을 의미한다. 콜라와 피자의 예산제약선이 있다. 피자 한 판은 콜라 5병의 가격이다. 따라서 피자 한 판의 기회비용은 콜라 5병이라는 것이다. 이에 예산제약선의 기울기가 5라면 두 재화의 교환 비율이 5가 된다. 우리는 여기서 예산제약선의 ..

기록/경제학 2022.12.03

정렬 알고리즘

정렬 자료들을 오름차순이나 내림차순으로 재배열하는 것이다. 정렬에 기준이 되는 특정 값을 키key라고 한다. 정렬 시에는 안정 정렬 stable sort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두 개의 열이 정렬됐을 때 원래 순서가 보장되는 경우, 안정정렬이 된 것이고, 원래 순서가 유지되지 않는 경우 안정정렬이 되지 않은 것이다. 다양한 정렬 알고리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때는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많다. 시간 복잡도는 얼마인가? 구현이 간단한가? 자료량이 많거나 적을 때 적절한가? 안정정렬인가? - 이 조건으로 선택가능한 알고리즘이 줄어든다. 추가 메모리양은 얼마인가? 이미 정렬된 경우 더 신속하게 정렬가능한가? 또, 정렬에는 내부정렬 internal sort과 외부정렬 external sort이 있는데 여기..

기록/알고리즘 2022.12.02

SQL 고급

SQL에서는 수학의 함수 개념을 사용한다. 특정 값이나 열의 값을 받아서 입력하여 계산한 결과를 보여준다. SQL에서 함수는 DBMS가 제공하는 내장함수 built-in function와 정의함수 user-defined function로 나뉜다. 여기서는 내장함수만을 다루도록 하겠다. 숫자 함수 -78과 +78의 절댓값을 구한다고 해보자. SQL로 구현한 코드는 다음과 같다. SELECT ABS(-78), ABS(+78) FROM Dual; 결과값은 78, 78이다. ※위의 dual 테이블은 함수계산을 위한 '가상의 테이블'이다. 다음은 round 함수를 사용한 코드를 보자. SELECT ROUND(4.875, 1) FROM Dual; 4.875의 소수 첫째 자리까지 반올림을 하는 코드다. 결과값으로 4..

운영체제(8) - 가상 메모리

가상 메모리 이전 글에서 실제 메모리에 대해 다뤘다. 이는 메모리 관리 방법을 토대로 제공하는 기술이며, 각 프로그램에 실제 메모리 주소가 아니라 '가상 메모리 주소'를 주는 방법이다. 이 가상 메모리는 사용자와 논리적 주소를 물리적으로 분리해서 사용자가 메인 메모리에서 용량을 초과하는 프로세스에 가상 메모리 주소를 지정해서 메모리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로그램 전체를 동시에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만 적재해도 실행 가능하도록 한다. 즉, 보다 큰 프로그램을 적은 메모리에서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 프로세스의 코드와 데이터는 디스크에 저장하고, 실행영역만 메인 메모리에 유지한 상태로 필요할 때만 스왑 인 앤 아웃 과정을 거쳐 프로세스를 재할당한다. 이는 메인 메모리의 '제한된 용량'과 ..

기록/운영체제 2022.11.28

경제학개론 (20) - 소득불평등과 빈곤

빈곤선 Poverty line : 소득이 이 선 이하면 절대빈곤 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는 수준. 빈곤율 Poverty rate : 가구원 총합 소득이 빈곤선에 미치는 못하는 가정이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 현물보조 In-kind transfer : 현금 대신 다른 서비스의 형태로 빈민에게 지원되는 보조. 생애주기 Life cycle : 한 사람의 삶에서 나타나는 일정한 소득 패턴을 일컫는다. 항상소득 Permanent income : 평생에 걸친 균형한 소득. 공리주의 Utilitarianism :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사회 구성원 전체의 효용을 극대화하는 정책을 선택해야 한다는 정치철학이다. 효용 utility : 행복과 만족의 척도. 점진적 자유주의 Liberalism : 무지의 베일에 있는 제3자가..

기록/경제학 2022.11.28

경제학개론 (19) - 임금소득과 차별

이 부분은 경제에 존재하는 큰 폭의 소득 격차를 여러 분석으로 설명한다. 균형임금의 결정 변수 보상적 임금격차 Compensating differential) : 비금적적 직업 속성의 차이를 보상해주기 위한 임금의 차이 '좋은' 직업, 그러니까 비금전적인 직업 속성이 좋은, 양질의 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는 직업에 대한 공급이 반대의미인 '나쁜' 직업에 비해 많다. 따라서 좋은 직업이 조건이 나쁜 직업에 비해 균형임금 수준이 낮은 경향이 있다. 인적자본 Human capital : 교육이나 직업 훈련과 같은, 사람에 대한 투자의 축적, 교육 투자 등으로 인한 결과 인적자본을 어느 정도 축적한 사람의 소득은 그렇지 못한 사람보다 높다. 다만 교육수준에 따른 임금격차는 교육을 위해 소요된 비용에 대한 보상이다..

기록/경제학 2022.11.27
728x90
반응형